본문 바로가기
정보/심리

리스페리돈과 도파민 (도파민 차단제)

by angel_0 2025. 2. 2.
반응형

 

리스페리돈(Risperidone)과 도파민 작용

리스페리돈(Risperidone)은 비정형 항정신병제(Atypical Antipsychotic)로, 주로 조현병(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약물이 도파민과 관련하여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리스페리돈은 도파민을 "적게" 분비하게 하는가?

리스페리돈은 도파민 D2 수용체의 길항제(antagonist, 차단제)입니다.
즉, 뇌에서 도파민의 작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리스페리돈이 도파민 자체의 분비를 직접 줄이는 것은 아닙니다.
대신, 도파민이 작용할 수 있는 수용체(D2)를 차단하여, 도파민 신호를 약화시킵니다.
결과적으로 도파민 신경전달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2. 도파민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 많아지는가? 적어지는가?

도파민이 활성화하는 시스템(예: 운동 조절, 감정 조절, 동기 부여 등)은 리스페리돈에 의해 억제됩니다.

  • 조현병(정신분열증) 환자에서는
    • 도파민 과잉(특히 중뇌-변연계 경로)이 환각·망상을 유발함.
    • 리스페리돈이 도파민 작용을 억제하여 증상을 완화함.
  • 파킨슨병 환자에서는
    • 도파민이 원래 부족한데, 리스페리돈이 더 억제하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음.
    • 그래서 리스페리돈은 파킨슨병 환자에게 주의해서 사용해야 함.

💡 결론: 리스페리돈은 도파민 작용을 감소시키므로, 도파민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들은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3. 리스페리돈의 도파민 조절 효과 (경로별 차이)

뇌 경로 역할 리스페리돈의 효과

중뇌-변연계 경로(Mesolimbic Pathway) 감정, 보상 도파민 과잉 → 환각, 망상 유발 → 리스페리돈이 차단하여 증상 완화
중뇌-피질 경로(Mesocortical Pathway) 인지, 감정 조절 도파민 부족 → 감정 둔화, 인지 저하 유발 가능
흑질-선조체 경로(Nigrostriatal Pathway) 운동 조절 도파민 차단 → 운동 부작용(추체외로 증상) 유발 가능
결절-누두 경로(Tuberoinfundibular Pathway) 프로락틴 조절 도파민 차단 → 프로락틴 증가 → 여성형 유방, 생리불순 가능

💡 핵심 정리:

  • 리스페리돈은 도파민 D2 수용체를 차단하여, 도파민 신호를 억제한다.
  • 도파민이 활성화하는 기능(감정, 동기 부여, 운동 조절 등)이 감소한다.
  • 하지만, 모든 도파민 경로에서 동일한 효과를 주지는 않는다.
    • 조현병에서는 유익하지만, 파킨슨병이나 인지 기능에는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 결론: 리스페리돈과 도파민의 관계

도파민 분비 자체를 줄이는 것은 아님.
도파민 D2 수용체를 차단하여, 도파민 신호를 억제함.
도파민에 의해 활성화되는 기능(감정, 동기 부여, 운동 조절 등)이 감소함.

결과적으로 도파민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