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 of Mind
마음이론 또는 마음의 이론 이라합니다. 보통은 tom과 구별하여 ToM처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음 이론(Theory of Mind)"은 인간과 다른 동물들이 다른 개체들의 마음, 즉 생각, 의도, 신념, 감정, 욕망 등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인간이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며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심리적 능력 중 하나입니다.
감정이입이 ToM이 관할하는 영역으로 선천적인면 후천적인 면 모두에 의해 발달된다고 추측됩니다. 즉 타고나는 것과 배우는데서 ToM이 발달되는것입니다.
장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의 자기중심성(egocentrism)과 유사합니다.
마음 이론은 주로 사회 인지와 관련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 측면을 포함합니다:
다른 사람의 관점 이해: 마음 이론은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는 능력을 강조합니다. 다른 사람이 어떤 것을 알고 있고, 어떤 것을 모르고 있는지 이해하면서 다른 사람의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감정 인식: 마음 이론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읽는 능력을 포함합니다. 다른 사람의 표정, 목소리, 몸짓 등을 통해 그들이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파악합니다.
감정 이해: 이 능력은 다른 사람이 어떤 상황에서 왜 특정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이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이 어떤 사건에 대해 왜 기뻐하거나 화를 내는지 이해합니다.
타인의 의도 추론: 마음 이론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과 의도 사이의 관계를 추론하는 데도 관련이 있습니다. 다른 사람이 특정 행동을 왜 했는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 예측합니다.
거짓 믿음 이해: 어린 아이들에게 주로 연구되었지만, "거짓 믿음 실험"과 같은 실험들을 통해 마음 이론의 발달 단계를 연구하고 이해합니다. 거짓 믿음 실험은 다른 사람이 특정 정보를 알지 못하거나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있을 때 그들의 행동을 어떻게 예측하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ToM작동에 장애를 겪는 경우
후천적 : 만성적이고 심한 우울증이나 조현병을 앓거나, 기능적으로 문제가 없던 사람도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 수면부족 상황, 약물중독 상황 등 악조건에서는 ToM 작동에 장애를 겪는 일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선천적 : 아스퍼거 증후군 등의 자폐증(Autism Spectrum Disorder, ASD)이 있습니다. 또한 ADHD도 ToM의 결손에 따라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논문이 있습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연구의 권위자 사이먼 바론 코헨의 저서 마음맹에서는 '사람의 시선 방향을 추적한다고 추정되는 어떤 기관'이 ToM을 형성하는데 기초가 된다고 주장합니다. 자폐증 환자들은 사람들과 눈을 못 맞춘다는 말이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말인것입니다. 흥미로운 것은 시각장애인들도 시각에 관련된 비유는 비자폐인과 다름없이 쓰는데 자폐인들은 시각이 멀쩡한 경우에도 시각에 관련된 비유를 잘 쓰지 못한다고 합니다.
특수교육학 용어사전에서는 ToM을 이렇게 묘사합니다. "신념, 의도, 바람, 이해 등과 같은 정신적 상태가 자신 또는 상대방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이다. 마음 이론이 잘 발달되어 있는 사람은 타인의 마음 상태를 인지하고 이해하는 공감 능력이 우수한 반면, 마음 이론에 결함이 있는 사람은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기보다는 자신의 시각에서 상황을 이해함으로써 호혜적인 사회적 상호 작용을 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자폐성 장애 아동이 타인의 마음을 읽어야 하는 과제를 매우 어려워하는 것은 마음 이론이 부족한 것과 관련이 있다." 이것은 단순히 샐리-앤 실험으로 측정하려는 목표를 활용하여 방증하려는 "상대방이 상대방 고유의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걸 고려하는 능력" 만으로 한정될 수 없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비판
이 이론은 단지 자폐증의 잘 알려진 증상을 그대로 가설화한 것일 뿐이라는 비판이 있습니다. 자폐증의 주된 증상을 통해 추론(자폐아는 타인의 마음의 존재를 알지도 이해하지도 못한다)한 것에서 나온 하나의 가설에 불과한 것을 가지고 자폐현상 전체를 완전히 설명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자폐는 발달장애이기 때문에, 자폐증을 완전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발달 과정 전체를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비판자들의 주된 논리입다.
검사방법
숙제 과제(Homework Task): 어린 아이들에게 주로 사용되는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아이들에게 어떤 캐릭터가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을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그 이야기와 관련된 질문을 하거나 캐릭터의 감정을 그림을 통해 나타내라고 요청합니다.
콘서베이션 큐(Questionnaire): ToM에 관한 질문이 포함된 설문지나 질문 목록을 사용하여 대상의 ToM 능력을 평가합니다. 이 방법은 대화 능력이나 의사 소통 능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임무 기반 테스트(Task-Based Tests): 이러한 테스트는 대상에게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거나 스토리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질문을 하거나 상황에 대한 결정을 내리도록 요구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거짓 믿음 태스크(False Belief Task)"나 "Sally-Anne 태스크(Sally-Anne Task)" 등이 있습니다.
눈의 시선 추적 테스트(Eye-Tracking Tests): 대상의 눈의 시선 추적을 관찰하여 다른 개체나 사물을 어떻게 인식하고 반응하는지를 평가합니다. 이러한 테스트는 눈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ToM 능력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능적 자기반영(Functional MRI, fMRI) 및 전치질량연쇄반응법(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등의 뇌 영상 기술: 뇌 활동을 관찰하여 ToM 작업과 관련된 뇌 영역을 연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기술은 ToM과 뇌 활동 간의 상관 관계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마음 이론은 사회적 상호 작용, 대인관계, 소통, 공동 협력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능력은 인간의 사회성과 사회적 상호 작용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며, 자포자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원활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마음 이론은 인간의 발달과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심리학과 사회학 연구에서도 중요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정보 >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이로제 치료 (1) | 2023.11.22 |
---|---|
하기싫은 일 끈기 있게 하는 법 (1) | 2023.11.20 |
남자친구랑 싸웠을때 (0) | 2023.11.14 |
모르핀 : 진통제 혹은 마약, 중독성과 금단증상 (0) | 2023.11.06 |
어릴때의 선입견을 고쳐야하는 이유 (0) | 2023.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