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심리

항우울제를 먹으면 꿈을 많이 꾸게 된다?

by angel_0 2025. 1. 22.
728x90
반응형

SSRIs와 SNRIs가 꿈에 미치는 영향

SSRIs(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SNRIs(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는 주요 우울증과 불안장애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들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SSRIs) 또는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SNRIs)의 농도를 증가시켜 감정과 기분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수면 구조와 꿈의 특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꿈이 많아지고 생생해지는 이유

  1. 렘수면 억제와 보상 작용:
    • SSRIs와 SNRIs는 렘(REM) 수면의 지속 시간을 줄이거나 렘수면에 진입하는 빈도를 낮춥니다. 렘수면은 꿈을 꾸는 주요 수면 단계로, 이 억제는 렘수면의 보상 작용(REM rebound)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약물 사용 중단 후 또는 뇌가 조정되는 과정에서 렘수면이 과도하게 증가하며 꿈이 더 많아지고 생생해질 수 있습니다.
  2. 신경전달물질의 변화:
    • 세로토닌은 렘수면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노르에피네프린은 각성과 수면 주기 조절에 관여합니다. SSRIs와 SNRIs는 이 두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조절하여 렘수면의 질과 양에 변화를 주고, 이로 인해 꿈의 빈도와 생생함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3. 각성 증가와 꿈의 생생함:
    • 이러한 약물은 뇌의 각성 수준을 약간 높여, 꿈꾸는 동안의 자각(예: 선명한 색상, 구체적 내용)을 증가시키기도 합니다.

렘 반동(REM Rebound)이란?

렘 반동은 렘수면이 억제되었다가 보상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SSRIs, SNRIs, 또는 수면 억제 약물을 사용 중단하거나 갑작스레 줄일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렘 반동의 특징

  • 렘수면의 과잉: 렘수면 단계의 길이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꿈을 꾸는 시간이 길어집니다.
  • 꿈의 강렬함: 렘수면이 집중되면서 꿈이 더 생생하고 강렬하며, 때로는 악몽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수면 분절: 렘수면이 증가하면 전체적인 수면의 구조가 분열되어 피로감을 더 느낄 수도 있습니다.

렘 반동은 신체가 수면 주기의 균형을 복원하려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생리적으로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벤조디아제핀 항불안제와 꿈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s) 항불안제는 GABA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중추신경계를 억제하고 불안을 줄이며 수면을 유도합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수면 구조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벤조디아제핀이 수면과 꿈에 미치는 영향

  1. 렘수면 억제:
    • 벤조디아제핀은 렘수면과 깊은 비렘(NREM) 수면의 비율을 줄입니다. 이는 꿈의 빈도를 감소시키거나, 렘 반동을 유발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2. 수면 단계의 얕아짐:
    • 벤조디아제핀은 깊은 수면 단계를 얕게 만들어 수면의 질을 낮출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꿈의 내용이 더 생생하거나 자각몽(lucid dream)의 빈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3. 수면 중 자각의 증가:
    • 일부 사용자들은 벤조디아제핀 복용 시 수면 중에 꿈을 더 명확히 기억하거나, 꿈에서 자각적인 통제력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꿈을 많이 꾸게 되는 원리

꿈의 빈도와 생생함은 뇌의 신경전달물질, 수면 단계, 각성 수준에 의해 조절됩니다. 약물 복용과 관련된 꿈의 증가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렘수면의 보상 작용:
    • 렘수면이 억제되면 뇌는 이를 보상하려고 렘수면 시간을 늘리고, 이로 인해 꿈이 많아집니다.
  2. 세로토닌과 아세틸콜린의 상호작용:
    • 세로토닌 수치가 높아지면 아세틸콜린이 활성화되면서 꿈의 내용이 더 선명해질 수 있습니다. 아세틸콜린은 렘수면을 유도하는 주요 신경전달물질입니다.
  3. 수면 구조의 변형:
    • 약물이 수면의 깊이나 주기를 변화시키면 뇌가 특정 단계(주로 렘수면)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생깁니다.

 

SSRIs, SNRIs, 그리고 벤조디아제핀과 같은 약물은 수면 구조에 영향을 미쳐 꿈이 많아지고 생생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렘수면 억제와 렘 반동은 꿈의 빈도와 강렬함을 크게 증가시키는 요인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약물의 작용과 중단, 그리고 신경전달물질의 조정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꿈이 많아지거나 생생해지는 현상은 신체가 균형을 찾으려는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약물 사용과 관련된 독특한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