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보/기타 정보77 모기, 잡는법, 위험성, 질병, 물렸을 때, 간지러울때 모기 모기는 1억 7천만 년 전 중생대 쥐라기에 처음 등장하여, 뛰어난 번식력과 끈질긴 적응력으로 K-Pg멸종에서 살아남아 지구 전역에 퍼졌다. 평소에는 꽃이나 과일의 즙을 빨아 속씨 식물의 수분을 돕기도 하나 임신한 앜멋이 산란기가 되면 단백질을 보충하고자 짐승과 사람의 피를 빤다. 보통 여름에 모기가 많다고 하나 현대 사회는 가구나 빌딩 등의 난방이 잘 되어있어 겨울에도 모기가 있을 수 있다. 모기의 위험성 여기저기 옮겨다니며 흡혈하므로 세균과 바이러스를 옮겨다닌다. 특히 '말라리아'를 감염시키는 매개체가 된다. 따라서 모기는 인류를 많이 죽이는 동물이기도 하다. 통계적으로 모기에 물려 목숨을 잃은 사람은 '연간' 70만명 정도이다. (사람 - 45만명, 뱀 - 5만명, 개- 2.5만명) 모기가 옮기.. 2022. 8. 29. 우유는 왜 하얀색일까 우리가 마시는 우유는 하얀색이다. 물은 투명하고 바닷물도 투명한데 우유는 하얗다. 그것은 물과 우유는 다른 성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거라고 짐작할 수 있다. 물에는 없는 우유에 있는 다른 성분이 우유를 하얗게 보이게 만든다고 생각할 수 있다. 우유의 성분 물, 단백질, 지방, 유당, 칼슘, 비타민, 인, 미네랄 등 다양한 다른 생물 활성 화합물들로 구성되어있는 자연적이고 완전 식품이다. 카제인 카제인(casein) 또는 카세인은 포유동물의 젖에 존재하는 단백질이다. 소젖의 경우 무게 기준 3% 정도가 카제인이다. 우유의 총 단백질의 80%가 카제인으로 구성된다.카제인은 우유에서 칼슘과 인산염과 함께 모여 미셀이라 불리는 작은 입자를 형성하는 단백질의 주요 유형 중 하나이다.빛이 미셀에서 이러한 케이스에.. 2022. 8. 11. 이전 1 ··· 23 24 25 2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