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보/기타 정보77 하루를 알차게 쓰는 법 어렸을적 시간계획표 짜기를 학교에서 숙제로 해본적이 있을 것이다. 그림으로 계획표를 짜기도 하고, 아니면 스케쥴러 형식으로 짜보기도 했을 것이다. 요즘은 핸드폰 앱으로 스케쥴 짜기에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다. 시간이 되면 알람이 울리고, 계속해서 해야할 일을 알려주는 기능도 있다. 그러나 우리는 무언가 계획짜기를 귀찮아한다. 그리고 뭔가 계획을 짜더라도 그 계획대로 하지 않고 미루고, 귀찮아하고 포기한다. 사람들은 그때그때마다 어떤것에 충동되는 일도 잦기 때문에 계획대로 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계획을 짤때에는 어느정도 융통성이 있으면 좋다. 그런데 여기서 질문. 과연 시간을 정해가며 계획하는것이 좋은것일까. 글쓴이는 mbti가 intp라서 계획 정하는 것을 정말 귀찮아 하는 사람이다. intp는 .. 2022. 11. 30. 시간 효율적으로 쓰는 법 1. plan(계획)하기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나누어 적는다. 이 일은 보통 아침에 일어나서 하도록 한다. "긴급한 업무", "중요하지만 급하지 않은 업무", "중요하지 않음" 으로 나누어서 리스트를 짜보도록 한다. 이 '계획하기'는 하루를 위한 것이 될 수도 있고, 일주일, 한달을 위한 계획이 될 수도 있다. 계획할때는 너무 부담이 되거나 무리되지 않도록 잘 고려해서 계획하고 약간의 융통성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해둔다. 모든것이 계획한대로 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일을 시작할때도 일 자체에 대해서도 계획하도록 한다. 먼저 정보를 찾아야 할지, 사람들과 회의하는것이 더 좋을지 등등 일을 더 체계적이고 빠르게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일의 '목표'를 분명히 하고 그것을 어떻게 이룰지 고민하는 시간을 .. 2022. 11. 26. 국어 용어 설의법 뻔히 알 수 있는 사실을 의문문으로 제시하는 기법이다. 평서문 보다 의문문이 감정이 더욱 강해서 독자에게 호소할 수 있기 때문에 쓰인다. 용례 : ~가, ~까, ~랴, ~리오 같은 종결어미를 이루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ex) '세상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개괄적 중요한 내용이나 줄거리를 대강 추려 내는 개괄적 설명 주객전도 주인과 손님이 뒤바뀐다는 의미. 주체와 객체가 바뀌는 것. 보통 화자가 주체이고 대상이 객체이다 예: 영롱 벽계와 수성 제조는 이별을 원하는 듯 -> 실제로 이별을 원망하는 것은 화자이나 벽계와 제조가 원망한다고 표현 연쇄법 연쇄법은 흥미의 연속성을 유지하며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강조하는 효과를 낳는다. 산문을 쓸 때 앞 절의 끝에 한 말의 일부분을 고쳐 다음 절에 되풀이해서 .. 2022. 11. 6.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