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정보600

잎꽂이 하여 자란 식물은 0살 부터 시작할까? 잎꽂이한 식물의 수명 결론부터 말하면, 새로 자라난 가지(삽수)를 잘라 심어도, 그 가지의 유전적·세포적 "나이"는 0살부터 시작하지는 않습니다.  이유: 세포적 나이와 생물학적 나이의 차이식물의 줄기나 가지에서 잘라낸 삽수(삽목)는 모체 식물의 세포적 나이를 일부 이어받습니다.삽수에 있는 각 세포의 텔로미어 길이, 유전자 돌연변이 축적 정도, 후성유전적 마커(epigenetic marks) 등은 이미 모체에서의 경험이 반영된 상태입니다.즉, 삽수는 새로운 개체로 생장할 수 있지만, 유전적으로는 이미 일정 나이를 가진 세포들로 시작하는 것입니다.  예시로 보는 과정삽수 채취 (모식물의 일부)모식물의 가지에서 잘라낸 삽수의 세포들은 이미 여러 차례 분열을 거친 상태입니다. 이 과정에서 텔로미어도 일정 부분 짧아져 있을 가능성이.. 2025. 3. 17.
텔로머레이스(telomerase), 텔로미어 최신 연구 동향 텔로미어(Telomere)란?텔로미어는 염색체의 말단에 위치하는 반복적인 염기서열(주로 TTAGGG 반복 서열)로 구성된 구조로, 세포 분열과 염색체 안정성 유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텔로미어의 구조와 구성반복서열: 인간에서는 "TTAGGG"라는 6개 염기쌍이 수천 번 반복됩니다.길이: 세포마다 다르지만, 태아 때는 약 10,000~15,000 bp(염기쌍) 정도이며, 이후 세포 분열이 일어날 때마다 짧아집니다.T-loop 구조: 텔로미어 끝은 스스로 접혀 고리(T-loop) 구조를 형성하여 말단의 염기서열이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합니다.Shelterin 단백질 복합체: 텔로미어 서열에 결합해 구조적 안정성과 기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 복합체입니다.TRF1, TRF2, POT1, .. 2025. 3. 15.
선천적 우울증이란게 존재할까? '선천적 우울증'이라는 용어는 의학적으로 공식적인 진단명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유전적 요인이나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우울증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우울증은 어린 시절부터 발현될 수 있으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1. 선천적 우울증의 진단 기준우울증의 진단은 주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임상 평가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DSM-5(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2주 이상 거의 매일 지속될 때 주요우울장애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거의 하루 종일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대부분의 활동에 대한 흥미나 즐거움의 현저한 감소체중이나 식욕의 큰 변화불면 또는 과다수면정신운동의 초조함 또는 지체피로감 또는 에너지 상실무가치감 또는 과도한 죄책감집중력.. 2025. 3.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