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보/건강249 하임리히법 하는 법 (질식) 하임리히법 Heimlich Maneuver 기도폐쇄처치법 1974년 헨리 하임리히가 고안한 것으로 기도가 이물질로 인해 폐쇄되었을 때, 즉 기도이물이 있을 때 응급처치법이다. 쉽게 말해서 식사를 하거나 무언가를 입에 물고있다가 그걸 실수로 삼키다 기도가 막혀 질식하게 되었을때 하는 응급처치이다. 기도가 막히면 말을 하지 못하고 기침 또한 불가능하며 목을 감싸쥐다 몇분이내로 의식을 잃을 수 있다. 이때 하임리히법을 행하여 응급처치로 횡경막을 올려 가슴 내부의 압박을 상승시켜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한다 방법 먼저 119에 전화한다 한쪽 발을 환자의 다리 사이로 위치 시킨다 그리고 뒤에서 환자를 안듯이 환자의 팔 사이로 팔을 넣는다 한 쪽 손을 주먹 쥐고 환자의 명치와 배꼽 사이에 올린다음 다른 손은 주먹쥔 손.. 2022. 1. 6. 과민성대장증후군 치료 과민성대장증후군란?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irritable colon syndrome) 과민성대장증후군은 장비로 확인되는 특정 질환은 없으나 대장 근육의 과민한 수축 운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관련 증상으로는 두통, 식은땀, 복통, 위경련, 설사, 변비, 가스 과다가 있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복통이 시작되고 나서 배변 후에는 호전되는 경우가 많은데 배변 후에도 잔변감으로 인한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이 암으로 발전하거나 하는건 아니지만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쳐 환자는 불편과 의욕상실을 겪을 수 있다. 과민성대장증후군 치료 먼저 원인을 살피면 스트레스, 불안, 피로누적, 과도한 음주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아직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은 증후군이다. 그.. 2021. 12. 28. 내장 지방 빼는법 내장 지방이란? (Visceral Fat) 복강 내, 내장 주변에 존재하는 지방을 말한다. 내장 지방이 있는지 자신은 느끼거나 보거나 할 수 없다. 빼빼 마른 사람이더라도 내장 지방은 많을 수도 있다. 이를 TOFI 라고 하는데 "thin outside fat inside"라고 부른다 내장 지방은 여러 성인병을 일으킬 수 있다. 대사성 질환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 당뇨병,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등과 연관이 있으며 내장지방이 불어나면 뱃속에 압력이 생겨 복부 팽만감을 느끼게 하고 트림이 심해지기도 한다. 또 내장 지방이 위험한 이유는 지방이 한곳에 머물러 있지 않고 혈액 속에 지방산 형태로 돌아다니기 때문이다. 혈액으로 흘러나온 지방이 혈류를 타고 돌아다니면서 뇌혈관, 간, 심장 등에 쌓이게 되는데.. 2021. 12. 22. 이전 1 ··· 80 81 82 8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