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04 우울증일때 쾌락의 양을 낮추자. 중도가 좋다! 불교에서는 '중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중도의 '중'자는 '가운데 중' 자 입니다. 세상에는 '극'이 존재합니다. 차가움과 뜨거움, 빛과 어둠, 있음과 없음 등등 극중에는 반대 속성을 가지고 있는것이 많습니다. 그런 극중에 쾌락과 고통이라는 극도 있습니다. 보통 쾌락은 우리가 추구하는 것이고 고통은 피하려고 하는 것이죠. 보통 우리는 쾌락이 많으면 많을 수록 좋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고통은 피하면 피할 수록 좋은것이라고 생각하고요. 그러나 사실은, 쾌락도 고통도, 너무 추구하거나 너무 피하거나 하는것만이 좋은것이 아닙니다. 그 가운데, 잘 조화가 되어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는 중간, '중도'가 좋은 것입니다. 잠시 중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중도(中道)는 불교의 핵심 교리 중 하나로, 극단을 피하.. 2024. 6. 24. 우울증과 쾌락. 쾌락 중독에서 벗어나기 우울증과 쾌락 중독에서 벗어나기: 균형 잡힌 삶의 중요성우울증은 많은 이들에게 고통을 주는 심리적 질환으로,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킵니다.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은 종종 일상적인 활동에서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고, 무기력과 절망감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이들은 일시적인 위안과 행복을 찾기 위해 쾌락 중독에 빠지기 쉽습니다. 그러나 쾌락 중독은 단기적인 해결책에 불과하며, 장기적으로는 우울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쾌락 중독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중독, 게임 중독, 알코올이나 약물 남용, 과도한 쇼핑이나 도박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들은 순간적인 기쁨과 도피처를 제공하지만, 그 결과는 종종 더 큰 문제를 야기합니다. 우선, 쾌락 중독은 뇌의 보상 시스.. 2024. 6. 21. 완벽주의자의 우울증에 대해서(INFP) MBTI유형이 한때 인기였었죠. 지금은 인기가 조금 사그라든것 같지만 여전히 MBTI는 자신을 알아보는 도구로서 효과적이라고 생각됩니다. 나름의 공신력이 있는것이죠. 그러나 MBTI도 남이 보는 내 타입과 내가 생각하는 내 타입이 있는데, 자신이 검사해서 나온 MBTI는 내가 생각하는 '나'를 알아보는 것입니다. 자기 스스로 한 테스트에서 INFP가 나왔다면 이는 이상주의자일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완벽주의자이기도 하지요. INFP가 완벽주의라는 것은 이상주의자라는 특성에서 나온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이상주의자는 N이란 직관에서 나오는데, 이 직관은 어떤 이상적인 것에 대한 마음속의 한 기준같은것에서 나옵니다.'이데아'라고도 하죠. 잠깐 이데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데아(ἰδέα)는 고대 그리스.. 2024. 6. 19.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20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