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보/심리169

자해 행동, 대처 self-harm 자해(自害, self-harm)는 자신의 신체에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자상(自傷)이라고도 한다. 이 글에서는 비자살 자해에 대해서 다룬다 비자살성 자해는 초기 청소년기에 시작되는 경향이 있다. 비자살성 자해는 다른 장애, 특히 경계성 인격 장애, 반사회적 인격 장애, 섭식 장애, 물질 사용 장애( 알코올 사용 장애 등), 자폐증과 같은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서 더 일반적이다. 자해는 대부분 나이가 들면 중단한다. 자해의 행동 자해의 가장 흔한 행동은 칼로 베거나 긋는 행동 (cutting)이지만 그 외에도 화상 입히기(burning), 할 퀴기 (scratching), 신체부위 때리기(hitting), 상처 난 곳의 치료를 방해하거나 훼방 놓기, 머리카락 뽑기 (trichotill.. 2022. 8. 15.
트라우마 증상, 치료 트라우마 증상 어떤 사건이 외롭고 압도되도록, (두렵거나, 극도로 슬프거나 하는 등) 만든다면 그것은 외상적 사건이다. 이런 경험은 인지, 행동, 신체적, 심리적 행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 충격, 부정, 불신 사건 직후 나타나며 주위 환경에 혼란스러워 하는 것 처럼 보일 수 있다. 고통스러운 기억이 계속 떠오르는 상태이다. 2. 공격성 이 공격성은 사건을 둘러싼 죄책감, 수치심, 또는 개인적 비난의 결과이기도 하다. 또한 극한의 상황에서 폭력이 자신을 지켜준 기억때문일수도 있다. 공격성 외에도 과민성, 빈번한 감정 변화 등을 보일 수 있다. 3. 수면 문제 불면증 혹은 악몽 밤에 대한 공포가 생길 수 있다. 이는 피로감을 유발하고 혼란과 집중 어려움 등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따 4. 불안 트라우.. 2022. 8. 13.
건강한 개인주의 개인의 행복을 위한 도구인 집단이 거꾸로 개인의 행복의 잣대가 되어버리는 순간, 집단이라는 리바이어던은 바다 괴물로 돌아가 개인을 삼킨다. 집단내에서의 서열, 타인과의 비교가 행복의 기준인 사회에서는 개인은 분수를 지킬 줄 아는 노예가 되어야 비로소 행복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영원히 사다리 위로 한 칸이라도 더 올라가려고 아등바등 매달려 있다가 때가 되면 무덤으로 떨어질 뿐이다. 행복의 주어가 잘못 쓰여 있는 사회의 비극이다. - 문유석 , 개인주의자 선언 개인주의란? 개인주의(個人主義, individualism)는 개인의 도덕적 가치를 중시하는 도덕적 입장, 이데올로기, 정치철학, 사회적 시각등을 의미한다.개인주의자는 자신의 목표와 욕망을 행사하는 것을 촉진하며, 따라서 개인의 독립과 자립에 가치.. 2022. 8.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