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보/심리169

소시오패스 알아내기, 특징, 대처법 Sociopath, 사회병질자, 반사회성 성격장애 정식진단명으로 사용되다가 재분류된 단어인 사이코패스와는 달리 소시오패스란 G.E. 패트릿지가 1930년 사이코패스 장애의 사회적 괴리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별도로 만들어낸 용어로서 실제로 정식 명칭으로 규정된 병명이 아니다. 즉 소시오패스는 사이코패스의 하분류 혹은 동일 의미로 사용될 수 있었으나, 다양한 대중매체 등에서는 분명히 분류되어 마치 타종 병명인양 오용되고 있다. 소시오패스는 50년대 이후부터는 사용되지 않는 개념이다. 오늘날의 범죄심리학계에서는 소시오패스라는 용어 자체를 사용하지 않고, 비전문가들이 대중의 흥미를 끌기 위해 쓰여진 책들에서만 사용된다 사이코패스와 차이점 사이코패스는 태어날 때부터 감정과 공감능력을 담당하는 전두엽과 측두엽이 발달.. 2022. 6. 14.
화 났을 때 화 푸는 법 노래를 듣는다 신나는 노래든, 차분한 노래든 듣고 싶은 노래를 듣도록 한다. 이때 신나는 노래는 너무 박자가 너무 빠르거나 가사에 분노가 담긴 노래를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좋은 것은 차분한 노래다. 그러나 자신이 좋아하는 노래를 듣는 것도 좋다. 운동 한다 화가 날땐 적당한 저중강도 운동을 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 달리기를 하거나, 팔 다리를 강하게 흔들거나 스쿼트 등 몸을 움직이는 일을 한다. 몸은 운동을 하면 엔돌핀이라는 기분이 좋아지게 만드는 물질을 내보내서 운동을 하면 기분이 좋아질 수가 있다. 자전거를 타는 것도 좋은데 자전거가 없다면 그냥 걷거나 스트레칭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 운동 중 복싱을 하는 것도 좋다고 한다. 휴식을 취한다 잠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는 것도 좋다. 눈을.. 2022. 6. 13.
심신증, 마음이 아프면 몸도 아프다. (화병) 심신증이란? 정신신체증이라고도 하며 심리적인 스트레스, 욕구불만을 근거로 하여 일어나는 심리적 긴장상태가 계기가 되어 일어나는 신체적 질환이다. 심신증을 가진 대표적인 신체형장애만 해도 인구의 약 5.5% 정도 되며, 여기에 우울증, 불안증 등 다른 정신과적 장애에서 보이는 심신증까지 하면 인구의 약 15%까지 된다고 한다. 여성과 남성을 비교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5~20배 많다고 한다. 우리나라 사람에게 이런 심신증상이 많이 발견된다고 한다. 원인 심신증의 원인은 심리적 스트레스가 원인이며 불쾌감, 불안, 불만, 걱정, 분노, 슬픔, 적대감, 애정상실, 배우자 이해부족 등등 일상의 사건들부터 , 커다란 사건들까지로 인한 마음의 부정적인 감정이 쌓이고 이를 억압하다 보면 대뇌피질의 시상하부 자율신경 중.. 2022. 6.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