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보/심리169 행복 호르몬 - 기분 좋아지는 법 인체에는 행복에 관여하는 호르몬들이 있다 현대 정신의학에서는 생물적인 요인도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있다 과거 경험, 트라우마 등등 사고방식에서 행복을 찾을 수도 있지만, 인체의 호르몬에 의해서도 사람의 정서는 많은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여자의 월경시 변하는 호르몬에 의해 신경이 예민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갱년기의 여성, 남성 또한 호르몬의 변화로 우울증에 걸리기도 한다. 정신과 인체는 서로 연관되어 영향을 주고 받기 때문에 자신의 어느 부분이 결핍되어있는지 알고 보충하면 좋을 것이다. 행복 호르몬에는 무엇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 행복 호르몬을 늘리기 위해서는 무엇을 하면 좋을지 알아본다. 엔돌핀 인체에서 자체 생산하는, 현존 최강의 마약. 동물의 뇌에서 분비되는 내인성 오피오이드 펩타이드(E.. 2022. 7. 24. 환각의 종류, 원인 Hallucination 정신의학 용어의 하나로, 대상 없는 지각, 즉 아무런 감각 기관의 자극이 없음에도 마치 어떠한 사물이 있는 것처럼 지각하는 증상이다. 청각, 후각, 미각, 체질 감각등의 환각도 포함하지만 환시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실제로 입력이 있던 감각 정보를 잘못 체험하는 증상은 착각으로 불린다. 환청 : 청각의 환각 실재하지 않는 소리가 들리는 것이다. 들리는 소리의 종류로는 사람의 소리부터 시작해서 사람들이 대화하는 소리 등 복잡한 소리까지 들린다. 조현병 같은 경우에는 사람의 욕이나 명령들이 들리기도 하다. 혹은 벽을 두드리는 소리가 들리기도하다. 망상에 결합되는것이 특징이다. 환시 : 시각의 환각 실재하지 않는 것이 보인다. 단순한 것 부터 복잡한 것 까지 정도는 다르다. 의식 .. 2022. 7. 2. 공감각에 대해서 synesthesia 공감각이란? 본래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등 감각인상(感覺印象)의 종류(모달리티)와, 그 원인이 되는 물리적 자극(시각에서의 가시광선, 청각에서의 음파) 사이에는 1대 1의 대응이 있는데, 때로는 이 원칙에 반하여 음파가 귀에 자극될 때 소리를 들을 뿐 아니라 색상을 느끼는 수가 있다. 이것을 색청(色聽)이라고 하는데, 이때 색상이 변하면 들리는 소리의 음정도 변한다. 그 밖에 후각과 함께 색상을 느끼거나, 글씨를 보고 냄새를 느낄 때도 있다. 이와 같은 감각의 모달리티의 경계를 넘어선 감각현상이 공감각인데, 공감각에는 2차감각이 현실적인 경우와 기억 표상적(記憶表象的)인 경우, 또는 단순한 사고에 그치는 경우 등 정도의 차이가 있으며, 이런 소질이 없는 보통 사람도, 특.. 2022. 6. 29.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5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