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보/심리169

우울증일때 조심해야하는 사고방식 (고치면 좋은 생각) 터널 시야(tunnel vision) 터널을 지나갈 때처럼 저 끝의 작은 출구만 바라보며 앞으로 나아가기 때문에 주변의 정보와 그로 인한 감각을 충분히 알아차리지 못한다는 의미 심리적 측면에서 '시야'가 좁은것 속이 좁고, 생각의 폭이 넓지 않은 사람을 보고 '시야가 좁다'라고도 말하곤 한다. 우울증에 걸린 사람도 우울함이 심하면 '터널 시야'라는 것을 갖게 될 수 있다. 주변은 깜깜하고 저 멀리 단 하나의 빛만 보이는데 그 빛은 곧 자살이 되거나 헛된 희망, 망상, 혹은 집착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터널 시야는 사고의 경직성으로 견고하게 굳어져 버린 방식으로만 사고하는 사람들이 병리적인 상태로 발전된 것이다. 이를 게슈탈트 심리학에서는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알아차리는 능력을 방해받을 때 발생하는 병리적.. 2022. 12. 17.
싸움 말리는 법 한번도 싸워본 적은 없지만, 미리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서 싸움 말리는 법에 대해서 적어보고자한다. 그냥 여기저기서 정보를 가져와서 정리해본다 1. 친구가 친구와 싸움 말싸움일때 : 될 수 있는한 말린다. 농담을 해서 분위기를 풀거나 "그만해!"하고 소리를 친다. 혹은 울어버린다. 사소한 일로 싸우는 거라면, 그리고 서로가 정이 떨어진게 아니라면 서로 솔직한 마음을 말하게 하고 화해시키도록 한다. 이때 나의 역할은 '가볍게 중재'하는 역할이다. 너무 깊게 관여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싸움이 끝난 후 바로 화해를 시키는것이 아니라 조금 흥분이 가라앉고 나서 서로 말을 하게 하는게 좋다. 그렇지 않으면 다시 싸우게 될 가능성이 있다. 아니면 싸운 그날은 바로 헤어지고, 나중에 시간을 잡고서 해결을 위해 다.. 2022. 12. 16.
죄책감에서 벗어나기 1:57 죄책감 guilt 생물이 스스로가 저지른 잘못에 대해 책임을 느끼는 감정 여기서 잘못은 개개인의 양심에 의해 결정된다. 죄책감은 수치심과는 다른 것으로 수치심이 바라는 행동을 달성할 능력이 없어서 유발되는 데 반해 죄책감은 자신의 행동이 잘못되었거나 비도덕적인 것으로 지각되었을때 유발된다. 미국 옛 인디언들의 이야기 사람들의 마음 소겡는 세모난 쇳조각이 있는데 사람이 나쁜 짓을 할때마다 그 쇳조각이 돌아가며 그 사람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이때 느끼는 아픔이 죄책감이라고 한다. 사람이 맨 처음 나쁜 일을 할때는 그 죄책감이 상당히 크나 가면 갈수록 그 쇳조각의 날이 무뎌진다. 이는 사람이 죄책감을 덜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는 살인을 계속 저질러온 범죄자가 다음에도 범죄를 가볍게 저지를 수 있는.. 2022. 12.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