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보/건강244

성별간 질병 위험 차이 질병은 남녀간에 다르게 발현한다. 의학원 보고에서는 남녀간의 생물학적 차이는 생물학적 성차(sex- defference)라고 부르고, 사회적인 문제와 관련이 있는 남녀간의 차이는 사회적 성차(gender difference)라고 부르자고 권유하였다. 주요 사망 원인은 남녀가 동일하다. 1. 심장질환, 2 악성종양, 3.뇌혈관질환이다. 악성종양에 의한 사망원인 중 1위는 폐암으로 남녀가 동일하다. 유방암은 여성에서는 악성종양으로 인한 사망원인 중 두 번째를 차지하고 있지만, 폐암과 비교하면 35%가 더 적다. 남성은 자살이나 타살, 사고의 빈도가 여성보다 더 높다. 여성은 중앙값 51.4세에 일어나는 폐경과 더불어 여러 질병의 위험도가 커진다. 선진국에서는 여성의 일생 중 1/3은 폐경 이후가 차지한다. .. 2023. 1. 9.
임신 중에 발생하는 질환들 임신 고혈압 임신을 하면 심박출량이 40% 증가한다. 그 대부분은 일회박출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임신 3기에는 심박동수가 분당 약 10회 정도 증가한다. 임신 2기에는 전신혈관저항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혈압이 감소한다. 만약 임신기간 동안 혈압이 140/90 mmHg이면 비정상적으로 상승한것으로 간주되며 주산기 이환율과 사망률이 심각하게 증가한다. 임신 중 고혈압은 보통 전자간증이나 만성 고혈압, 임신고혈압, 신장질환에 의해 일어난다 전자간증 전체 임산부의 약 5-7%에서 임신 중 처음 발병한 고혈압과 단백뇨 및 병적 부종이 나타나는 전자간증이 발생한다. 태반의 요소들 중 어떤 것이 정확히 전자간증을 일으키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 병의 최종 결과는 여러 장기에 걸친 혈관경련과 혈관내피의 손상이다. .. 2023. 1. 7.
골절, 치료 기간, 재활 골절 뼈가 부러지거나 금이 감 골절 되었을 때 응급 처치 다친 부위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부목 등을 이용해 묶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데 구급차가 올 수 있는 곳이라면 그냥 부목을 대지 않고 내버려 두도록 한다. 응급처치를 할때는 환자가 편안해 하는 자세 그대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도움을 청한다. 환자를 움직일때는 골절되거나 탈구된 뼈와 관절의 위/아래 관절을 동시에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목은 다친 부위의 뼈보다 깅러야 하고 부드러운 천으로 감싸 피부에 직접 닿아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한다. 부목은 가볍고 단단한게 좋다. 그러나 그런게 없다면 담요나 신문지를 접은것 종이 상자를 이용할 수 있다 관절이나 뼈의 단단한 부위가 밖으로 만져지더라도 이를 제자리로 돌리려는 시.. 2022. 12. 28.
728x90
반응형